3 minutes

홍콩의 이민정책 2025 — 글로벌 인재와 투자자에게 열린 도시

홍콩(Hong Kong)은 중국, 영국, 유럽 및 남아시아 이민자들이 형성한 다문화 사회를 기반으로 한 ‘이민자의 도시’입니다.
자유무역과 개방적 금융환경을 토대로 발전해온 홍콩은 외국인 전문직 종사자와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목적지로 꼽히며, 정부의 개방적 이민정책은 이러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홍콩 이민의 역사

홍콩으로의 첫 이민 물결은 1840년대 영국이 홍콩을 자유항구(Free Port) 로 개발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1840~1860년대 사이 홍콩 인구는 급격히 증가했고, 중국 본토 출신 이민자들이 상업·무역 기술을 이전하면서 기업가 계층이 형성되었습니다.
한편, 일부 이민자들은 노동계층으로 자리 잡으며 초기 산업 발전의 기반을 이루었습니다.

두 번째 이민 물결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일어났습니다. 전쟁이 끝난 직후 본토에서 대규모 인구가 홍콩으로 유입되었고, 그 결과 홍콩의 민족 구성은 대부분 중국계로 고착화되었습니다. 1960년대까지 모든 이민 관련 업무는 경찰국이 담당했으나, 1961년 홍콩 이민국(Immigration Department) 이 신설되며 본격적인 이민 행정 체계가 구축되었습니다.

홍콩의 자유주의적 이민정책

홍콩은 전통적으로 자유주의적 이민정책을 따릅니다. 약 170개 국가와 지역 국민이 7일~180일간 무비자 체류가 가능하며, 단기 방문자는 비즈니스 미팅, 회의, 계약 체결 등의 활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국가별 체류기간은 gov.hk 무비자 리스트 참조)

홍콩 정부는

  • 외국 기업가의 사업 이주,
  • 외국인 전문가의 고용 수요,
  • 고급 인재의 유입 촉진

을 위해 다양한 특별 비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취업비자 소지자의 가족에게는 대부분 취업이 가능한 동반비자가 허용되어 있습니다.

외국인 전문가 유치 정책 — General Employment Policy (GEP)

일반 고용정책(GEP, General Employment Policy) 은 홍콩 내에서 대체가 어려운 전문 기술, 지식 또는 업력을 가진 외국인 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대표적인 취업비자 제도입니다.

  • 신청 조건: 홍콩 현지 기업의 스폰서 필요
  • 심사 기준: 학력, 경력, 직무의 전문성, 급여 수준, 현지 대체 가능성
  • 체류 기간: 최초 3년, 이후 연장 가능
  • 동반가족: 배우자 및 자녀는 별도 동반비자 신청 가능(취업 가능)

💡 GEP는 홍콩 내 전문직 인력 부족을 보완하고, 글로벌 경쟁력 유지를 목표로 설계된 핵심 이민정책입니다.

중국 본토 인재 유치 정책 — Admission Scheme for Mainland Talents and Professionals (ASMTP)

중국 본토 인재 및 전문가 채용안(ASMTP) 은 본토 출신 고급인재가 홍콩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설계된 비자 제도입니다.

고학력자나 특수 기술·전문 지식을 가진 신청자가 주요 대상이며, GEP와 동일하게 홍콩 내 스폰서(고용주)가 필요합니다.

  • 체류 기간: 최초 3년, 이후 연장 가능
  • 심사 기준: 고용계약의 합법성, 경력·학력·보수 수준
  • 특징: 홍콩과 본토 간 인재교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며, 정부가 적극 지원 중입니다.

우수인재 입국제도 — Quality Migrant Admission Scheme (QMAS)

홍콩 정부는 2006년부터 우수 이민자 입국제도(QMAS) 를 시행해왔습니다. 이 제도는 고급 전문직·기술자·창의인재가 홍콩에 정착해 취업이나 창업 기회를 탐색하도록 지원합니다.

  • 채용확정 불필요: 사전에 고용계약이 없어도 신청 가능
  • 평가방식: 포인트제(General Points Test / Achievement-based Points Test)
  • 연간 할당: 과거 1,000명 한도 → 2023년~2025년까지 한시적으로 쿼터제 유예
  • 2024–2025 최신 개편:
    • 포인트제 항목에 경력 가중치 강화
    • Talent List(우대직종) 확대 — 금융, AI, ESG, 생명공학 등 신산업 분야 포함

QMAS 핵심 포인트:
2025년 현재, QMAS는 쿼터 제한 없이 신청 가능하지만, 경쟁률은 여전히 높으며 포인트 심사 기준이 강화되었습니다.

외국인 기업가·투자자 유치 정책 — Entrepreneur/Investment Visa

홍콩에서 직접 사업을 설립하거나 투자하려는 외국인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바로 투자입국(Investment as Entrepreneurs) 입니다.

  • 대상: 홍콩 내 법인 설립·운영 예정 기업가
  • 주요 요건:
    • 사업계획서 제출 (3~5년 재무예측 포함)
    • 고용창출·기술이전 등 홍콩경제 기여 증빙
    • 충분한 자금력 및 업계 관련 경험
  • 심사기관: 홍콩 이민국 (Immigration Department)

홍콩은 외국인 창업에 대한 법적 장벽이 거의 없으며, 법인세 16.5%, 배당세·양도소득세 면제 등 세제 경쟁력으로 인해 글로벌 스타트업 허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외국인 인재 유치와 글로벌 경쟁력

IMD 세계 경쟁력 연보(2019) 에 따르면, 홍콩은 ‘외국인 인재 유입 제한이 가장 적은 지역’ 중 하나로 평가되었습니다(세계 3위). 이는 홍콩의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이민·노동정책 덕분이며, 국제 경쟁시장에서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는 핵심 요인으로 꼽힙니다.

홍콩 정부는 2024년 이후 ‘홍콩 인재계획(Talent Attraction Strategy)’ 을 강화하며,

  • 고급 기술직군 우대,
  • 온라인 비자 시스템 개선,
  • 글로벌 인재 네트워크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인재에게 열린 도시, 홍콩

홍콩은 법적·세제적·행정적 장벽이 낮고, 영어·중국어 이중언어 환경을 갖춘 아시아의 중심 허브입니다.
홍콩 정부는 전문 인력, 창업가, 투자자 모두에게 유리한 제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이는 외국 기업과 인재가 홍콩을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입니다.

[무단복사 및 재배포 금지] ⓒ2025 Premia TNC. All rights reserved.
이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사전 승인 없이 복사, 재배포, 2차 가공이 금지되며, 위반 시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양식을 작성해 주시면 신속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